곽봉호 군의원이 언론에 기고한 글 모두 표절로 드러나
옥천신문만 표절 사실 알리고 사과문 실어
지역일간지, 표절 확인 사후 조치 철저히 해야
옥천군의회 미래통합당 곽봉호 군의원이 옥천신문 만이 아니라 충북지역 일간지 충청일보, 중부매일, 충청매일, 충청타임즈, 충북일보 등에 매체에 그동안 기고한 글도 표절임이 드러났다.
이 같은 사실을 처음 밝힌 것은 옥천신문이다. 옥천신문은 7월31일 6면 <표절 기고문으로 윤리문제 제기된 곽봉호 의원>에서 곽봉호 의원이 남의 글을 그대로 가져다 쓴 사실이 드러나 잘못을 인정했으며 사과했다고 전했다. 옥천신문은 같은 날 독자에게 드리는 사과문을 싣고 “외부 기고글을 충분히 점검한 뒤 지면에 게재해야 함에도 이를 소홀이 해 독자에게 불편을 끼쳤다”고 죄송하다고 밝혔다.
중부매일에 실린 글을 그대로 가져와 충북일보에 기고했다.
옥천신문이 표절 보도를 한 이후에 충북인뉴스도 곽봉호 군의원의 표절 사실을 확인해 8월7일 <곽봉호 옥천군의원 표절 기고 …충북지역언론 전부 당했다?>(http://www.cbi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1388) 에서 지역일간지들을 중심으로 표절 실태를 취재했다. 충북인뉴스가 확인한 충청매일 9건, 중부매일 6건, 충북일보 3건, 충청타임즈 1건, 동양일보 1건 등은 모두 표절로 확인됐다.
충북민주언론시민연합(이하 충북민언련)도 곽봉호 옥천군의원의 기고 일부를 확인한 결과 충청일보 6건에 기고 글이 모두 표절임을 확인했다. 충북인뉴스에 따르면 곽봉호 군의원은 옥천신문에 게재된 표절 기고문에 한해서만 사과문을 발표했고, 옥천지역 주재기자들이 관련 사실을 알고 있으니 사과문을 요구하면 사과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상태이다.
충청일보에 실린 기고문을 확인해보니 두개의 다른 글을 그대로 가져다 썼다.
충북인뉴스 보도가 나간 이후에 각 언론사들이 어떤 조치를 취했는지도 살펴봤다. 기고문을 삭제하긴 했지만 독자에게 사과를 한 언론사는 옥천신문이 유일했다. 표절 사실을 확인했으면 삭제 조치를 하고 독자에게 관련 사실을 알리는 건 당연한 수순 아닌가. 왜 언론들은 이처럼 무감한 태도를 보이는가. 표절 사실을 지적받고서도 여전히 홈페이지에서 곽봉호 군의원 글을 삭제하지 않은 언론사도 있다.
곽봉호 군의원 표절과 관련해 옥천군의회는 윤리위원회에 회부할 생각이 없다는 뜻을 밝혔다고 한다. 곽의원은 주민에게 표를 얻어 선거에서 당선된 정치인이다. 정치인이 남의 글을 통째로 베껴쓰기를 밥 먹듯이 했는데도 사태의 심각성을 알지 못하는 옥천군의회의 윤리의식이 기막힐 따름이다. 만일 곽봉호 군의원이 강도짓을 하다가 발각돼도 문제없다고 할 텐가. 강도짓은 나쁘고 남의 글을 훔치는 것은 범죄가 아니라고 판단하는가. 남에 글을 베껴 언론에 기고하면서 자신의 명예를 챙겨온 곽봉호 군의원은 주민을 대변할 자격이 없다.
충북민언련은 표절 피해를 당한 지역일간지들도 곽봉호 군의원의 기고를 철저하게 검토하고 삭제 조치하며 독자에게 사건 경위를 충분히 설명해주기를 부탁한다. 작은 문제들이 쌓여 신뢰의 둑을 허문다. 사후약방문이 될 지라도 후속 조치를 철저하고 완벽해야 한다.
곽봉호 군의원이 언론에 기고한 글 모두 표절로 드러나 옥천신문만 표절 사실 알리고 사과문 실어 지역일간지, 표절 확인 사후 조치 철저히 해야
옥천군의회 미래통합당 곽봉호 군의원이 옥천신문 만이 아니라 충북지역 일간지 충청일보, 중부매일, 충청매일, 충청타임즈, 충북일보 등에 매체에 그동안 기고한 글도 표절임이 드러났다.
이 같은 사실을 처음 밝힌 것은 옥천신문이다. 옥천신문은 7월31일 6면 <표절 기고문으로 윤리문제 제기된 곽봉호 의원>에서 곽봉호 의원이 남의 글을 그대로 가져다 쓴 사실이 드러나 잘못을 인정했으며 사과했다고 전했다. 옥천신문은 같은 날 독자에게 드리는 사과문을 싣고 “외부 기고글을 충분히 점검한 뒤 지면에 게재해야 함에도 이를 소홀이 해 독자에게 불편을 끼쳤다”고 죄송하다고 밝혔다.
옥천신문이 표절 보도를 한 이후에 충북인뉴스도 곽봉호 군의원의 표절 사실을 확인해 8월7일 <곽봉호 옥천군의원 표절 기고 …충북지역언론 전부 당했다?>(http://www.cbi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1388) 에서 지역일간지들을 중심으로 표절 실태를 취재했다. 충북인뉴스가 확인한 충청매일 9건, 중부매일 6건, 충북일보 3건, 충청타임즈 1건, 동양일보 1건 등은 모두 표절로 확인됐다.
충북민주언론시민연합(이하 충북민언련)도 곽봉호 옥천군의원의 기고 일부를 확인한 결과 충청일보 6건에 기고 글이 모두 표절임을 확인했다. 충북인뉴스에 따르면 곽봉호 군의원은 옥천신문에 게재된 표절 기고문에 한해서만 사과문을 발표했고, 옥천지역 주재기자들이 관련 사실을 알고 있으니 사과문을 요구하면 사과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상태이다.
충북인뉴스 보도가 나간 이후에 각 언론사들이 어떤 조치를 취했는지도 살펴봤다. 기고문을 삭제하긴 했지만 독자에게 사과를 한 언론사는 옥천신문이 유일했다. 표절 사실을 확인했으면 삭제 조치를 하고 독자에게 관련 사실을 알리는 건 당연한 수순 아닌가. 왜 언론들은 이처럼 무감한 태도를 보이는가. 표절 사실을 지적받고서도 여전히 홈페이지에서 곽봉호 군의원 글을 삭제하지 않은 언론사도 있다.
곽봉호 군의원 표절과 관련해 옥천군의회는 윤리위원회에 회부할 생각이 없다는 뜻을 밝혔다고 한다. 곽의원은 주민에게 표를 얻어 선거에서 당선된 정치인이다. 정치인이 남의 글을 통째로 베껴쓰기를 밥 먹듯이 했는데도 사태의 심각성을 알지 못하는 옥천군의회의 윤리의식이 기막힐 따름이다. 만일 곽봉호 군의원이 강도짓을 하다가 발각돼도 문제없다고 할 텐가. 강도짓은 나쁘고 남의 글을 훔치는 것은 범죄가 아니라고 판단하는가. 남에 글을 베껴 언론에 기고하면서 자신의 명예를 챙겨온 곽봉호 군의원은 주민을 대변할 자격이 없다.
충북민언련은 표절 피해를 당한 지역일간지들도 곽봉호 군의원의 기고를 철저하게 검토하고 삭제 조치하며 독자에게 사건 경위를 충분히 설명해주기를 부탁한다. 작은 문제들이 쌓여 신뢰의 둑을 허문다. 사후약방문이 될 지라도 후속 조치를 철저하고 완벽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