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시종 지사 명문고 주장 언론은 왜 비판 안하나

충북민언련
2019-03-13
조회수 274

[뉴스 후]명문고 논란 뉴스 들여다보니

명문고 주장, 어느 날 갑자기…

이시종 지사의 명문고 주장은 지난해 10월 시작됐다. 이시종 지사가 명문고 얘기를 처음 꺼낸 것은 2018년 10월16일 충청타임즈 2면 <이시종 지사, 오송 개발 필요성 강조 왜?>라는 보도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 보도에서는 이시종 지사가 오송에 대형마트 유치, 명문고 건립, 대학병원 분원 유치 등 중요성을 강조했다고 보도했다. 충북도는 11월6일 충북미래 우수인재 육성방안 정책토론회도 개최했다. 이 토론회에서도 충북에 명문학교 설립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중점적으로 펼쳐졌다.

이어 11월27일 충북민간시민사회단체총연합이 기자회견을 한다. 이 단체는 도내 인재가 없고, 우수한 학생들의 유출이 심화되고 있어 정부 주요 부처에 충북 출신이 부족하다며 명문고 설립을 통한 인재 육성을 주장했다. 이와 관련해 충북학교학부모연합회도 27일 기자회견을 열어 “충북도가 밀어붙이고 있는 자사고(자율형 사립고)는 교육기회 불평등과 교육 양극화만 조장할 것”이라며 “이시종 충북지사는 자사고 설립 시도를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12월에는 충북도와 도교육청의 무상급식 논의가 진행됐는데 이시종 지사가 명문고 유치를 조건으로 무상급식 전면 시행과 분담금 등을 합의한 것으로 알려지기도 했다.

▲ 명문고를 키워드로 검색했을때 시기별 보도량. 명문고 주장이 제기된 지난해 11월과 12월에 보도량이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중요한 건 도대체, 왜 이시종 지사가 뜬금없이 명문고 유치를 주장하느냐 이다. 명문고는 이시종 지사의 주요선거 공약이 아니었다. 도지사로서 선거 공약이 아니어도 주요 현안에 대한 입장과 주장을 펴고 정책을 제안할 수 있다. 문제는 제안 이후에 충분히 논의할 수 있는 장을 제공했나이다. 어느 날 갑자기 명문고를 주장하고, 여기에 명문고가 필요하다는 민간단체의 목소리가 나오고 이에 대한 반대 입장이 나와 찬반논란으로 흘렀는데 처음부터 충북에 왜 명문고가 필요한지, 이시종 지사의 주장은 타당한 것인지 언론은 비판 검증하지 않았고, 명문고 논란 보도는 쏟아졌다.

명문고, 언론보도량은 얼마나 될까?

이시종 지사의 발화 시점으로부터 현재까지(3월12일) 명문고 관련한 보도량도 살펴봤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제공하는 빅카인즈 검색 서비스를 통해 분석한 결과 ( 이 서비스에는 지역일간지는 중부매일, 충북일보, 충청일보 세 신문이 올라와 있다.) 명문고를 키워드로 검색했을 때는 총 102건의 기사가 검색됐고, ‘명문고, 이시종, 김병우’ 를 키워드로 검색하면 총 31건의 뉴스가 검색된다. 신문별로 보면 중부매일 21/5건, 충북일보 37/19건, 충청일보 36/7건 등이다. 보도 형태를 살펴보면 대부분 명문고를 둘러싼 논란을 소개하는 수준의 기사와 명문고 유치를 직접적으로 주장하는 사설이나 이를 비판하는 칼럼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지역방송 보도량을 보면 KBS청주가 12건, MBC가 14건, CJB가 12건 정도이다. 리포트는 각 사별로 7건 정도이다. 보도 경향은 명문고 논란 양상 전개를 보도하는 식이었다. 주로 갈등 양상을 소개하는 보도들인데 “충돌”이니 “집안싸움”이니 하는 식에 표현을 쓴 건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방송 보도 가운데 눈길을 끈 보도를 보면 3월8일 MBC충북이 보도한 <명문고가 뭐길래…동상이몽 이유는?> 에서 배경을 설명해주는 보도와 KBS 보도 가운데에는 3월11일 보도 <'인재'는 빠지고 정치공방만 가열>에서 지역인재 육성이라는 본질은 사라지고 정치공방으로 흐르는 사태에 대한 비판이 눈길을 끌었다. CJB 보도가운데에는 12월25일 보도에서 공주 한일고라는 농촌형 자율고를 찾아가 본 경우 등이다.

▲ 명문고 관련 상관어 분석표. 명문고 논란을 충북도가 주도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명문고 유치에 가장 적극적인 충북일보

신문들 가운데에는 충북일보가 가장 적극적인 보도태도를 보였다. 충북일보는 사설을 통해 명문고 유치를 직접적으로 주장하고 나섰다. 2018년 12월17일 사설 <지역인재 영성이 지역을 살리는 길이다>에서 “경제, 사회, 문화 등 모든 분야에서 충북 출신이 사라지고 있어 충북의 미래 어둡다. 인재가 있어야 지역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며 명문고 유치를 주장했다.

3월8일 사설 <충북 명문고 패러다임 새롭게 짜보자>에서는 지역 인재 유출을 막기 위해서라도 명문고 육성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충북일보는 충북도의 명문고 추진 계획을 사회적 공론의 장으로 끌어내야 한다고 밝혔다.

3월12일 사설 <‘무(無) 장관’시대 본질은 무엇인가>에서 명문고가 없는 충북의 현실을 어떻게 해서라도 개선해야 한다며 평준화를 거스르지 않으면서도 전체 대비 5~10% 정도의 수월성 교육이 허용되도록 마음을 열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충북일보의 주장과는 반대되는 칼럼으로는 3월8일 충청타임즈 <명문고 타령>을 꼽을 수 있다. 이 칼럼에서는 “이시종 지사는 지금의 평준화 교육과 공교육으로 지역인재를 만들 수 없다고 하는데 동의하기 어렵다며 지금 우리 사회가 추구해야 할 교육방향은 교육기회를 균등하게 보장하고 공교육의 수준을 상향평준화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사설을 통한 주장은 신문사의 의견이니 그리 나쁘다고만 볼 수 없다. 근거 없는 비난을 한다거나 구체적인 취재원을 밝히지 않는다거나 하는 식의 보도태도가 더 문제라고 볼 수 있다. 몇 가지 문제를 지적하면, 우선 시민단체를 비난하는 보도이다. 2018년 12월4일 충북일보 1면 머리기사 <반대에만 익숙한 충북...사라진 담론>에서 명문고 유치나 대형복합쇼핑몰 유치에 대해 부정적 여론 많다고 보도하면서 시민단체가 지역발전에 발목을 잡는다는 식으로 보도했다.

두 번째는 김병우 교육감을 압박하는 보도이다. 충북일보는 3월7일 시장군수 협의회가 명문고 유치를 주장하는 성명을 발표한 사실을 <충북시장‧군수, 자사고 반대 김교육감 압박>이라는 1면 머리기사로 보도했다. 다른 신문들이 단신으로 처리한 것과 비교하면 ‘압박하는 편집’이라고 볼 수 있다. 충북일보는 3월11일 1면 머리기사 <명문고 갈등 '교육경비'로 옥죄나>에서는 도내 시군단체장들이 교육경비를 감축하는 압박카드를 꺼낼지 관심이라고 보도했는데 마치 교육경비로 압박하라고 알려주는 듯했다.

세 번째 구체적인 취재원을 밝히지 않는 보도태도이다. 명문고를 키워드로 해 세 신문의 뉴스 인용문 분석을 해보면 주요 발언자가 대부분이 “관계자” 들이다. 이를테면 한 학부모는, 한 교육계 인사는, 정치권 관계자는, 교육계에서는 이런 식이다. 다른 기사들에서도 취재원을 익명처리하는 경우가 많긴 하지만 찬반여론을 전하면서 관계자는 ~ 이라고 익명처리하면 기사의 신뢰도를 의심하게 한다.

갈등양상 보도에서 벗어나 공론장을

우선 갈등 양상 공방 보도에서 벗어났으면 한다. 정치공방만 전하는 건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 갈등 양상보다는 지역문제를 해결하는 방향의 저널리즘이 필요하다. 지역인재 유출을 내세우기에 앞서 지역 교육환경은 어떠한지를 심층적으로 들여다보는 보도도 나오면 좋겠다. 충북도가 지역교육에 가장 인색한 투자를 한다고 하는데 타 지역과 비교도 해보고, 교육환경을 개선하는 방법은 무엇인지도 언론이 대안제시를 해줘야 한다. 사실 많은 학부모들이 바라는 게 바로 이런 부분이 아닐까. 엘리트 중심의 소수만을 챙기는 정책 보다는 많은 학생들이 좋은 여건에서 교육받을 수 있게 하는 게 지역의 미래를 밝게 하는 게 아닐까.

마지막으로 지역주민들도 명문고 유치를 원하는지 언론이 공론장을 제공해야 한다. 충북도에선 도민 천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했다며 그걸 바탕으로 명문고 유치를 주장하는데 이런 여론조사가 있었는지 아는 주민들은 과연 얼마나 될까. 자치단체장의 의지에 따라 좌지우지되는 게 아니라 지역주민의 뜻이 반영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언론은 공론장을 제공해야 한다. 

* 위 내용은 3월13일  KBS청주 라디오 이해수의 시사투데이 미디어톺아보기 코너에서도 발표했습니다.
 

0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