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주민 권리를 지켜내려면 이번엔 달라야 한다
그렇게 많은 비가 쏟아진 건 청주에 살면서 처음이었다. SNS에 올라온 소식들이 심상치 않아 시간마다 뉴스특보를 확인하고 또 확인했다. 지금 내가 사는 지역에 무슨 일이 벌어지는지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뉴스가 그 어느 때보다 간절했다. 충북지역 곳곳에서 홍수 피해를 전하는 기자들 모습에 고마움마저 느꼈다. 그러나 감동할 때가 아니었다. 피해가 너무나 컸다.
오송지하차도 참사로 청주시민 14명이 목숨을 잃었다. 워낙 피해가 큰 탓인지 모든 언론의 관심이 쏠렸다. 언론은 오송 지하차도 참사가 자연재해로 인한 사고가 아니었음을, 시스템을 정상적으로 가동했다면 충분히 막을 수 있는 사고였음을 조목조목 따져 보여주었다. 인재가 아니라 관재(官災)라는 언론의 비판도 쏟아졌지만 지금까지도 경찰, 청주시, 충북도 모두 서로 책임을 떠넘기는 양상이다. 그 누구도 잘못했다고, 책임지겠다고 말하지 않는다.
사건 발생 당시 현장을 외면했던 김영환 지사는 “내가 현장에 가봐야 달라질 게 없다”는 말로 공분을 샀다. 김 지사는 유가족을 만나 사과의 뜻을 밝히긴 했지만, 유가족의 분향소 연장 운영 요구조차 받아주지 않았다. 결국 분향소는 도청에서 청주시도지새생허브센터로 옮겨졌다.자신의 취임 일주년을 기념한다며 윤석열 대통령 내외 사진을 충북도청 내에 걸어 빈축을 샀던 김지사는 오송 지하차도 참사 책임을 묻게 만드는 분향소를 충북도청에 오래 두고 싶지 않았던 모양이다.
김영환 지사의 여러 기막힌 행보 탓에 상대적으로 가려진 이범석 청주시장은 아예 카메라 앞에서 고개조차 숙이지 않았다. 이범석 청주시장은 서면으로 사과했다. 청주시민 14명이 희생됐는데 서면 사과라니…! 형식적으로나마 사과를 했으니 그만이라고 생각한 건가? 이들의 어처구니없는 자신감은 대체 어디서 비롯된 것일까. 사고 수습을 핑계로 국회 출석을 미뤘던 두 단체장은 소속 당인 국민의힘 덕을 톡톡히 봤다. 국회행정안전위원회는 잼버리 대회 관련 증인 채택 문제를 핑계 삼아 부러 파행을 선택했다. 이렇게 흐지부지 끝나선 안 된다.
다행히(?) 오송지하차도 참사 사건은 언론의 보도로 전국민적인 관심을 받았고 명백한 잘못이 드러났기 때문인지 지역언론들도 이전과는 다른 보도태도를 보였다. 자치단체장을 일방적으로 감싸거나 그러진 않았다. 비판적인 목소리를 내는 언론도 많았다. 보도자료 받아쓰기만 하던 일부 매체들도 민주당이나 시민단체가 내놓은 김영환 지사를 비판하는 목소리를 따옴표로 묶어 전하기도 했다.
오송지하차도 참사 사건은 지역주민의 삶을 위협하는 상황에서 지역언론이 어떤 태도를 가져야 하는지를 보여줬다. 사건의 원인을 살펴보고 책임을 따져 묻는 보도들을 지켜보면서 지역 언론이 지역주민의 권리를 지켜내는 최소한의 보루 역할을 한다는 걸 다시 확인했다. 언론이 지역의 현안을 제대로 보도하지 않으면 그 폐해는 고스란히 지역주민에게 돌아간다. 지역언론이 선택한 침묵(에도 이유야 있겠지만)의 대가로 의혹들은 쉽게 사그라들고 자치단체장들은 지역주민들을 두려워하지 않게 됐다. 이번엔 좀 달랐으면 한다. 자치단체장의 책임을 끝까지 따져 묻는 모습을 보고 싶다.
지역주민 권리를 지켜내려면 이번엔 달라야 한다
그렇게 많은 비가 쏟아진 건 청주에 살면서 처음이었다. SNS에 올라온 소식들이 심상치 않아 시간마다 뉴스특보를 확인하고 또 확인했다. 지금 내가 사는 지역에 무슨 일이 벌어지는지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뉴스가 그 어느 때보다 간절했다. 충북지역 곳곳에서 홍수 피해를 전하는 기자들 모습에 고마움마저 느꼈다. 그러나 감동할 때가 아니었다. 피해가 너무나 컸다.
오송지하차도 참사로 청주시민 14명이 목숨을 잃었다. 워낙 피해가 큰 탓인지 모든 언론의 관심이 쏠렸다. 언론은 오송 지하차도 참사가 자연재해로 인한 사고가 아니었음을, 시스템을 정상적으로 가동했다면 충분히 막을 수 있는 사고였음을 조목조목 따져 보여주었다. 인재가 아니라 관재(官災)라는 언론의 비판도 쏟아졌지만 지금까지도 경찰, 청주시, 충북도 모두 서로 책임을 떠넘기는 양상이다. 그 누구도 잘못했다고, 책임지겠다고 말하지 않는다.
사건 발생 당시 현장을 외면했던 김영환 지사는 “내가 현장에 가봐야 달라질 게 없다”는 말로 공분을 샀다. 김 지사는 유가족을 만나 사과의 뜻을 밝히긴 했지만, 유가족의 분향소 연장 운영 요구조차 받아주지 않았다. 결국 분향소는 도청에서 청주시도지새생허브센터로 옮겨졌다.자신의 취임 일주년을 기념한다며 윤석열 대통령 내외 사진을 충북도청 내에 걸어 빈축을 샀던 김지사는 오송 지하차도 참사 책임을 묻게 만드는 분향소를 충북도청에 오래 두고 싶지 않았던 모양이다.
김영환 지사의 여러 기막힌 행보 탓에 상대적으로 가려진 이범석 청주시장은 아예 카메라 앞에서 고개조차 숙이지 않았다. 이범석 청주시장은 서면으로 사과했다. 청주시민 14명이 희생됐는데 서면 사과라니…! 형식적으로나마 사과를 했으니 그만이라고 생각한 건가? 이들의 어처구니없는 자신감은 대체 어디서 비롯된 것일까. 사고 수습을 핑계로 국회 출석을 미뤘던 두 단체장은 소속 당인 국민의힘 덕을 톡톡히 봤다. 국회행정안전위원회는 잼버리 대회 관련 증인 채택 문제를 핑계 삼아 부러 파행을 선택했다. 이렇게 흐지부지 끝나선 안 된다.
다행히(?) 오송지하차도 참사 사건은 언론의 보도로 전국민적인 관심을 받았고 명백한 잘못이 드러났기 때문인지 지역언론들도 이전과는 다른 보도태도를 보였다. 자치단체장을 일방적으로 감싸거나 그러진 않았다. 비판적인 목소리를 내는 언론도 많았다. 보도자료 받아쓰기만 하던 일부 매체들도 민주당이나 시민단체가 내놓은 김영환 지사를 비판하는 목소리를 따옴표로 묶어 전하기도 했다.
오송지하차도 참사 사건은 지역주민의 삶을 위협하는 상황에서 지역언론이 어떤 태도를 가져야 하는지를 보여줬다. 사건의 원인을 살펴보고 책임을 따져 묻는 보도들을 지켜보면서 지역 언론이 지역주민의 권리를 지켜내는 최소한의 보루 역할을 한다는 걸 다시 확인했다. 언론이 지역의 현안을 제대로 보도하지 않으면 그 폐해는 고스란히 지역주민에게 돌아간다. 지역언론이 선택한 침묵(에도 이유야 있겠지만)의 대가로 의혹들은 쉽게 사그라들고 자치단체장들은 지역주민들을 두려워하지 않게 됐다. 이번엔 좀 달랐으면 한다. 자치단체장의 책임을 끝까지 따져 묻는 모습을 보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