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0714 신문물
한겨레는 6월 26일(월) 1면 일하는 여성 매년 5만명 유산·사산…산재 인정 10명뿐에서 해마다 5만여명의 직장 여성이 유산을 경험하고 있지만, 지난 10년 동안 유산을 산재로 인정받은 사람은 10명에 그쳤다고 밝혔습니다. 구체적 인정 기준도 없어 들쑥날쑥한 산재 판정과 유산을 '여성 개인의 문제'로 치부하는 사회적 분위기를 비판하는 기사였습니다.
6월 30일(금) 1면 ‘건폭몰이 이용’ 타워크레인 월례비…대법 “사실상 임금” 에서는 대법원이 '타워크레인 월례비'가 사실상 임금이라고 판단했음을 알렸습니다. 이런 대법원의 판결을 보도한 것은 네 개의 신문 중 한겨레와 경향신문 뿐이었습니다.
경향신문은 해당 보도가 있기 전, 6월 26일(월) 1면 ‘건폭’ 단속 200일, 1484명 검찰 송치…경찰 특진경쟁 수단이 된 ‘특별단속’에서도 경찰이 노조를 과하게 단속하고 있음을 알렸습니다. 경찰의 노조 단속 수사 인원이 '전세사기 전국 특별단속' 수사(52명)와 '마약류 범죄단속' 수사(50명)보다 훨씬 많은 90명임을 기사를 통해 알 수 있었습니다. 정부의 노조 때리기가 심각한 상황임에도 이를 알리는 것은 소수의 진보 언론 뿐이라는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한겨레 6월 27일(화) 1면 ‘킬러 문항’ 22개 콕 짚고 단속 강화…9년 만의 사교육 대책은 최근 논란이 되었던 '킬러 문항'과 정부가 내세운 사교육 대책이 어떤가에 대해 나누는 계기가 되기도 했습니다. 모임원들은 "수능은 대학 공부가 가능한가의 척도가 되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한 것 같다", "대학 라벨에 따라 임금이 정해지는 사회부터가 문제"라는 이야기를 했으며, "사교육 잡는다고 수능을 바꾸는 건 타겟이 잘못된 것 같다", "교육 전반의 추세가 교과 융합으로 가는데 융합 문제를 배제한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는 의견도 나왔습니다.
같은 날 경향신문 1면에도 ‘수능 출제’ 교사 참여 늘리고 ‘킬러 문항’ 걸러 낸다가 보도됐습니다. 해당 기사에서는 대통령실이 사교육 시장 '이권 카르텔' 문제와 관련해 사법적 조치를 할 수도 있음을 밝혔는데요. 여기서 말하는 이권 카르텔이 무엇인지 이 기사를 통해서는 알 수 없어서 아쉽다는 반응이 있었습니다.
조선일보는 6월 28일(수) 1면 조희연 “킬러 문항·사교육… 보수·진보 모두 문제 공감”에서 조희연 서울시교육감과의 인터뷰 기사를 보도했습니다. 주된 내용은 킬러 문항이 학생에게 끼치는 영향이 심각하며, 사교육비도 증가시킨다는 내용입니다. 해당 기사 말미엔 "기존 입장을 고집해 상대를 비난할 근거만 수집하는 논쟁이 아닌, 입장을 바꿔가며 토론하는 과정이 필요하다"는 조 교육감의 말을 인용했는데요. 부디 실천으로 이어졌으면 좋겠다고 이야기했습니다.
중앙일보는 6월 27일(화) 1면 이런 킬러문항에 공정수능 무너졌다에서 교육부의 사교육 경감 대책에 대해 비판하는 보도를 했습니다. 이에 일부 모임원들은 중앙일보는 보수 언론이라는 인식이 강해 정부 정책에 비판하지 않을 줄 알았는데 의외라는 반응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한겨레 6월 28일(목) 2면 의료기관이 아기 출생 사실 지자체에 알린다는 '유령 영아' 이슈로 시작된 '출생통보제(의료기관이 아동의 출생 사실을 지방자치단체에 의무적으로 통보하도록 함)' 도입 법안이 국회 법사위를 통과했음을 보도했습니다. 또한 이 법안이 잘 시행될 수 있도록 '보호출산제(산모가 익명으로 출산할 수 있도록 함)'도 함께 도입해야 한다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음을 추가로 알렸는데요. '유령 영아' 이슈를 근본적으로 바로잡기 위해 도입될 법안을 알린다는 점에서 타 언론과 다른 점이 있다고 신문물은 평가했습니다.
경향신문 6월 26일(월) 1면 모두의 번영을 위한 해법…세계 석학들에게 듣는다는 지난달 28일에 있었던 <경향포럼>을 홍보하는 기사였습니다. 해당 포럼은 기후정의, 돌봄, 탈성장 등이 주제였는데요. 해당 주제를 다루는 것이 언론이 하는 당연한 일이지만, 실제로 행하는 것이 신기하다는 반응이었습니다.
6월 27일(화), 28일(수) 1면에는 '오염수 방류'에 대한 기사가 꾸준히 보도되었습니다. “오염수 방류, 가장 현실적 대안”…일본 대변하는 정부, 일 오염수 정화해도 ‘기준 초과 핵종 6개’를 통해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의 위험성을 알리고, 이런 상황에서도 우리나라 정부가 나서서 일본 정부의 입장을 대변하고 있음을 비판했습니다.
반면, 조선일보는 6월 27일(화) 1면에 "광기의 시간, 팩트가 협박 당했다"에서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를 '후쿠시마 괴담'이라고 칭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광우병 사태', '천안함 사건', '사드 전자파'를 모두 '괴담'으로 분류했습니다. 6월 28일(수) 1면에도 전날과 내용이 거의 동일한 ‘괴담 손실’ 수조원, 국민이 떠안았다... 선동자들은 아무 책임 안져를 보도했습니다.
조선일보에서는 이제까지와 전혀 다른 기사를 만날 수 있었습니다. 6월 26일(월) 1면 이승만 기념관, 4·19 주역도 박정희·YS·DJ 아들도 뭉쳤다는 조선일보의 색깔을 여실히 드러내는 기사였는데요. 이승만 전 대통령 기념관 건립 사업이 시작됐음을 알리며, 이것의 이유로 현 정부 리더십의 의지도 작용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이 전 대통령의 공은 공대로 평가해야 한다”는 여론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습니다.
6월 27일(화) 1면 71년만에 ‘대학 학과·학부’ 장벽 허문다... 1학년때 전과도 가능은 '고등교육법 시행령'이 개정되며, ‘대학에는 학과 또는 학부를 두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는 조항이 폐지되고, 1학년 때도 전과가 가능해질 것이라는 기사였습니다. 신문물 모임원들은 대부분 대학생으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대학생 당사자 입장으로서 해당 변경안이 "이미 자율 전공이 존재함에도 이렇게 개정하는 것은 전과나 편입을 장려하는 것 같다"라며 "인문사회 계열이 더욱 불리해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외에도 "편입을 통한 학생 감소로 지역에 있는 대학은 더욱 감세할 것이고 통폐합을 주장하기 쉬워질 것"이라는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6월 29일(목) 1면 내일부터 나이 기준은 ‘만 나이’는 만 나이 통일법을 다뤘습니다. 신문물 모임원들은 해당 이슈에 대해 다양한 생각을 나눴는데요. "오히려 현재는 혼란이 많은 것 같다", "사회적인 분위기를 먼저 형성하고 법을 시행했으면 좋았을 것 같다"는 이야기부터 "오히려 이런 혼란이 많으면 나이에 경직된 우리나라를 점점 바꿔갈 수 있지 않을까"까지 토론해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공고한 나이주의로 인해 서로가 겪은 일을 나누기도 했습니다.
6월 30일 (금) 1면 반도체 핵심 소재, 전략물자화하는 일본에서는 일본이 국가 차원의 반도체 부흥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모임원들은 "이게 왜 1면인지 모르겠다", "해당 기사가 어떤 측면에서 우리에게 도움이 되는지 알 수 없다"며 의아해했습니다. 한겨레와 경향신문, 중앙일보가 '프리고진 반란'을 다룬 것에 비해 국내 영향이 미비한 사안을 1면에 세운 것이 이해가 가지 않는다고 평가했습니다.
중앙일보는 6월 26일(월) 1면 서울 학원, 편의점보다 3배 많다…마곡 등 新학원가 등장에서 학생 수가 줄어들었음에도 사교육 영토가 넓어지고 있는 것에 대한 문제의식을 전달했습니다. 모임원들은 학생 수가 줄어들었고 이에 따라 학원 수도 줄었는데 오히려 전통적인 학원가는 포화되며 그 범위가 커지는 이유를 잘 다룬 기사라고 평가했습니다.
다음 모임도 기대해주세요!
230714 신문물
한겨레는 6월 26일(월) 1면 일하는 여성 매년 5만명 유산·사산…산재 인정 10명뿐에서 해마다 5만여명의 직장 여성이 유산을 경험하고 있지만, 지난 10년 동안 유산을 산재로 인정받은 사람은 10명에 그쳤다고 밝혔습니다. 구체적 인정 기준도 없어 들쑥날쑥한 산재 판정과 유산을 '여성 개인의 문제'로 치부하는 사회적 분위기를 비판하는 기사였습니다.
6월 30일(금) 1면 ‘건폭몰이 이용’ 타워크레인 월례비…대법 “사실상 임금” 에서는 대법원이 '타워크레인 월례비'가 사실상 임금이라고 판단했음을 알렸습니다. 이런 대법원의 판결을 보도한 것은 네 개의 신문 중 한겨레와 경향신문 뿐이었습니다.
경향신문은 해당 보도가 있기 전, 6월 26일(월) 1면 ‘건폭’ 단속 200일, 1484명 검찰 송치…경찰 특진경쟁 수단이 된 ‘특별단속’에서도 경찰이 노조를 과하게 단속하고 있음을 알렸습니다. 경찰의 노조 단속 수사 인원이 '전세사기 전국 특별단속' 수사(52명)와 '마약류 범죄단속' 수사(50명)보다 훨씬 많은 90명임을 기사를 통해 알 수 있었습니다. 정부의 노조 때리기가 심각한 상황임에도 이를 알리는 것은 소수의 진보 언론 뿐이라는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한겨레 6월 27일(화) 1면 ‘킬러 문항’ 22개 콕 짚고 단속 강화…9년 만의 사교육 대책은 최근 논란이 되었던 '킬러 문항'과 정부가 내세운 사교육 대책이 어떤가에 대해 나누는 계기가 되기도 했습니다. 모임원들은 "수능은 대학 공부가 가능한가의 척도가 되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한 것 같다", "대학 라벨에 따라 임금이 정해지는 사회부터가 문제"라는 이야기를 했으며, "사교육 잡는다고 수능을 바꾸는 건 타겟이 잘못된 것 같다", "교육 전반의 추세가 교과 융합으로 가는데 융합 문제를 배제한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는 의견도 나왔습니다.
같은 날 경향신문 1면에도 ‘수능 출제’ 교사 참여 늘리고 ‘킬러 문항’ 걸러 낸다가 보도됐습니다. 해당 기사에서는 대통령실이 사교육 시장 '이권 카르텔' 문제와 관련해 사법적 조치를 할 수도 있음을 밝혔는데요. 여기서 말하는 이권 카르텔이 무엇인지 이 기사를 통해서는 알 수 없어서 아쉽다는 반응이 있었습니다.
조선일보는 6월 28일(수) 1면 조희연 “킬러 문항·사교육… 보수·진보 모두 문제 공감”에서 조희연 서울시교육감과의 인터뷰 기사를 보도했습니다. 주된 내용은 킬러 문항이 학생에게 끼치는 영향이 심각하며, 사교육비도 증가시킨다는 내용입니다. 해당 기사 말미엔 "기존 입장을 고집해 상대를 비난할 근거만 수집하는 논쟁이 아닌, 입장을 바꿔가며 토론하는 과정이 필요하다"는 조 교육감의 말을 인용했는데요. 부디 실천으로 이어졌으면 좋겠다고 이야기했습니다.
중앙일보는 6월 27일(화) 1면 이런 킬러문항에 공정수능 무너졌다에서 교육부의 사교육 경감 대책에 대해 비판하는 보도를 했습니다. 이에 일부 모임원들은 중앙일보는 보수 언론이라는 인식이 강해 정부 정책에 비판하지 않을 줄 알았는데 의외라는 반응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한겨레 6월 28일(목) 2면 의료기관이 아기 출생 사실 지자체에 알린다는 '유령 영아' 이슈로 시작된 '출생통보제(의료기관이 아동의 출생 사실을 지방자치단체에 의무적으로 통보하도록 함)' 도입 법안이 국회 법사위를 통과했음을 보도했습니다. 또한 이 법안이 잘 시행될 수 있도록 '보호출산제(산모가 익명으로 출산할 수 있도록 함)'도 함께 도입해야 한다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음을 추가로 알렸는데요. '유령 영아' 이슈를 근본적으로 바로잡기 위해 도입될 법안을 알린다는 점에서 타 언론과 다른 점이 있다고 신문물은 평가했습니다.
경향신문 6월 26일(월) 1면 모두의 번영을 위한 해법…세계 석학들에게 듣는다는 지난달 28일에 있었던 <경향포럼>을 홍보하는 기사였습니다. 해당 포럼은 기후정의, 돌봄, 탈성장 등이 주제였는데요. 해당 주제를 다루는 것이 언론이 하는 당연한 일이지만, 실제로 행하는 것이 신기하다는 반응이었습니다.
6월 27일(화), 28일(수) 1면에는 '오염수 방류'에 대한 기사가 꾸준히 보도되었습니다. “오염수 방류, 가장 현실적 대안”…일본 대변하는 정부, 일 오염수 정화해도 ‘기준 초과 핵종 6개’를 통해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의 위험성을 알리고, 이런 상황에서도 우리나라 정부가 나서서 일본 정부의 입장을 대변하고 있음을 비판했습니다.
반면, 조선일보는 6월 27일(화) 1면에 "광기의 시간, 팩트가 협박 당했다"에서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를 '후쿠시마 괴담'이라고 칭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광우병 사태', '천안함 사건', '사드 전자파'를 모두 '괴담'으로 분류했습니다. 6월 28일(수) 1면에도 전날과 내용이 거의 동일한 ‘괴담 손실’ 수조원, 국민이 떠안았다... 선동자들은 아무 책임 안져를 보도했습니다.
조선일보에서는 이제까지와 전혀 다른 기사를 만날 수 있었습니다. 6월 26일(월) 1면 이승만 기념관, 4·19 주역도 박정희·YS·DJ 아들도 뭉쳤다는 조선일보의 색깔을 여실히 드러내는 기사였는데요. 이승만 전 대통령 기념관 건립 사업이 시작됐음을 알리며, 이것의 이유로 현 정부 리더십의 의지도 작용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이 전 대통령의 공은 공대로 평가해야 한다”는 여론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습니다.
6월 27일(화) 1면 71년만에 ‘대학 학과·학부’ 장벽 허문다... 1학년때 전과도 가능은 '고등교육법 시행령'이 개정되며, ‘대학에는 학과 또는 학부를 두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는 조항이 폐지되고, 1학년 때도 전과가 가능해질 것이라는 기사였습니다. 신문물 모임원들은 대부분 대학생으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대학생 당사자 입장으로서 해당 변경안이 "이미 자율 전공이 존재함에도 이렇게 개정하는 것은 전과나 편입을 장려하는 것 같다"라며 "인문사회 계열이 더욱 불리해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외에도 "편입을 통한 학생 감소로 지역에 있는 대학은 더욱 감세할 것이고 통폐합을 주장하기 쉬워질 것"이라는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6월 29일(목) 1면 내일부터 나이 기준은 ‘만 나이’는 만 나이 통일법을 다뤘습니다. 신문물 모임원들은 해당 이슈에 대해 다양한 생각을 나눴는데요. "오히려 현재는 혼란이 많은 것 같다", "사회적인 분위기를 먼저 형성하고 법을 시행했으면 좋았을 것 같다"는 이야기부터 "오히려 이런 혼란이 많으면 나이에 경직된 우리나라를 점점 바꿔갈 수 있지 않을까"까지 토론해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공고한 나이주의로 인해 서로가 겪은 일을 나누기도 했습니다.
6월 30일 (금) 1면 반도체 핵심 소재, 전략물자화하는 일본에서는 일본이 국가 차원의 반도체 부흥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모임원들은 "이게 왜 1면인지 모르겠다", "해당 기사가 어떤 측면에서 우리에게 도움이 되는지 알 수 없다"며 의아해했습니다. 한겨레와 경향신문, 중앙일보가 '프리고진 반란'을 다룬 것에 비해 국내 영향이 미비한 사안을 1면에 세운 것이 이해가 가지 않는다고 평가했습니다.
중앙일보는 6월 26일(월) 1면 서울 학원, 편의점보다 3배 많다…마곡 등 新학원가 등장에서 학생 수가 줄어들었음에도 사교육 영토가 넓어지고 있는 것에 대한 문제의식을 전달했습니다. 모임원들은 학생 수가 줄어들었고 이에 따라 학원 수도 줄었는데 오히려 전통적인 학원가는 포화되며 그 범위가 커지는 이유를 잘 다룬 기사라고 평가했습니다.
다음 모임도 기대해주세요!